ICT이야기 :: 캐나다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및 개발 동향
캐나다 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 및 개발 동향 |
|
캐나다는 하드웨어와 혁신기술 상용화에 강점을 가진 우리나라 4차 산업혁명의 전략적 파트너로 중요
캐나다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가상현실 등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스타트업 생태계가 빠르게 성공하고 있습니다. 2015년 기준 소프트웨어 분야가 ICT 시장 국내 총생산의 42.3% 차지, 같은 기간 ICT 시장의 매출액은 C$ 1722억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3.7%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캐나다 정보통신분야 생산 추이 및 매출액 구조 및 추이
캐나다 연구개발 및 스타트업에 정부지언, 인공지능전략, 스마트 시티 계획 등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주요 정책 수립과 추진 중입니다.
연구개발 및 스타트업에 정부지원 집중
4차 산업혁명에 특정된 정책은 없으나 혁신기술의 개발과 상용화에 관련한 연구개발 보조금과 투자 촉진에 적극적이며, 연방과학·혁신부는 오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주요 대학이 추진하는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 4차 산업 혁명분야 연구개발 프로젝트 94건에 C$50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입니다. 2017-2018년 연방 예산안은 혁실기술개발에 대한 정보의 투자 확대가 핵심 기조이며, 인공지능, 스마트 시티 등 첨단기술 융-복합 도입에 국가재정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2017-2018년 연방예산안 중 4차 산업혁명 관련 내용
구분 |
내용 |
비고 |
전담기관 |
Innovation Canada 설립 |
스타트업 등 혁신기업 지원 |
클러스터 |
워털루 ICT 생태계 성장 촉진 |
C$9억5,000만 투자(2017-2021) |
기금조성 |
Impact Canada Fund(C$810만) |
스마트시티 투자 지원 |
금융지원 |
보조금 및 융자금 집행 |
수출개발공사(EDC) |
인공지능전략
캐나다 정부가 특히 관심을 가지고 전폭적인 지원을 추진하는 4차 산업혁명 분야는 인공지능으로 C$1억의 재원을 투입하여 전략 실행에 착수하였습니다. 인공지능전략은 대학교, 연구소, 기업체간 연구개발(R&D) 협력 프로젝트 추진을 촉진하여 캐나다가 디지털 정보 처리 부문에서 선도국가로 발돋움 하는 것으로 목표로 합니다.
스마트 시티 계획
연방정부는 2017년 3월 주요 도시의 정보통신(ICT) 네트워크 확장·심화를 골자로 하는 '스마트 시티 계획'을 발표하였고 동 계획은 2018년부터 2028년까지 실시간 교통정보 체계 구축, 자율주행 인프라 확충, 에너지 절감 시스템 도입 등에 C$3억 투자 예정입니다.
1, 2, 3차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기술 도입과 융·복합 고도화 진행 |
|
농/축산/수산업, 제조업, 서비스업에 이르는 1차 산업부터 3차 산업까지 혁신기술 도입을 통한 융/복합 고도화 추진
혁신기술의 도입은 인공지능 및 가상현실 기술개발 역량 축적, 산업간 융·복합 확대 및 파생 수요 증대, 자율주행차 연구 확대 및 물류·유통 자동화 적용 확대 등 전·후방 산업의 환경 변화에 기인
캐나다 혁신기술 도입 동향
구분 |
내용 |
특기 |
농·축산·수산업 |
센서기술 및 빅데이터 기반 지능화 추세 |
무인 탐사차량, 항공기, 잠수정 활용 |
광업·에너지 산업 |
채굴·시추 장비 작동감지 및 위험방지 활동 |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장치 확대 |
제조업 |
생산 자동화 및 유통·물류 지능화 추진 |
인공지능 탐재 로봇 수요 증가 |
서비스업 |
프로세스 개선 및 신개념 비즈니스 모델 도입 |
제조업·서비스업 융·복합 확대 |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개발 동향 |
|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한 인공지능, 자율주행, 로봇 등 연구개발 활성화
토론토대는 인공지능 관련 인큐베이터 운영을 통한 의료보건, 환경보호, 공정혁신 등에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연구개발이 활성화하고 맥길대는 로봇연구센터를 주축으로 로봇 관련 엔지니어링, 인지기술 등에 관련 연구 진행 및 구글, 휴렉팩커드, GM 등 글로벌기업과 공동 지능형 로봇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워털루대 자동차연구소는 학생과 기업이 공동으로 자율주행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블랙베리 소프트웨어를 탐재한 무인차량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인공지능 연구기관 설립, 로봇연구연합 구축을 통한 관련 연구 활성화 추진 |
|
Vector Institute 토론토 설립 추진
2017년 3월 인공지능 연구기관 Vector Institute 설립 계획 발표, 연방정부와 온타리오주정부가 총 C$9000만 규모 보조금 지원 및 Magna, Loblaws, Shopify 등 캐나다 주요기업 들이 향후 10년간 총 C$8000만 자금 지원 예정이며, Vector Institute는 토론토대와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인공지능 관련 공동 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Canadian Field Rootics Network 구축
연방정부는 2013년부터 환경보호, 재난방지, 노약자 지원 등에 응용이 가능한 로봇 개발을 목적으로 워터루대를 비롯한 8개 대학이 참여하는 연구 네트워크 구축·활동 지원하며, 각 대학교 연구소 별 내륙, 해상, 수상, 항공 등 4가지 영역 중 전문분야를 선택하여 자동화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성과를 공유하는 모임을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2017년 캐나다 로봇연구 연합 세부 연구 동향
구분 |
내용 |
비고 |
워털루대 |
혹한기 가동 가능한 자율주행차 개발 |
재난방지, 인명구호 |
맥길대 |
원격조정 드론 촬영기술 개발 |
조정자 (손)동작 동기화 |
요크대 |
감정 인식 및 표현 가능한 로봇 개발 |
심리치료, 마케팅 |
메모리얼대 |
심해 장해물 인자·우회 무인잠수정 개발 |
해저탐사, 자원개발 |
제조업 지능화, 빅데이터 확산, 정보보안 강화를 통한 혁신기술 융·복합 제품 개발 추진 |
|
제조업 지능화, 빅데이터 확산, 정보보안 강화 트렌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강점을 보유한 기술을 응용하여 제조업을 지능화하고 데이터 처리, 분석, 활용 기술을 산업 전반에 확산함과 동시에 정보보안 체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며, 가상현실 기술의 마케팅, 교육, 엔터테인먼트 응용 제품의 개발과 센서 기술을 고도화한 사물인터넷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스마트휠체어 등 의료, 보건분야와 가정용 생활기기 등과 관련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랜섬웨어 등 해킹의 예방과 대응을 통해 데이터 보안 측면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노력으로 빅데이터, 인공지능 체제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데이터 보안과 관련된 정보보호 소프트웨어 등 개발을 활성화 합니다.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