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입문자료

리눅스서버 입문 :: Prompt구조와 용어정리

취업스토리 2017. 10. 7. 22:45

 

 

 

 

 

   리눅스서버 입문 :: Prompt구조와 용어정리

 

 

 

 


  리눅스서버 Prompt 구조의 개념


 

Prompt는 # 또는 $ 또는 [root@localhost /home] #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준비된 부분이고 현재 사용자이름, 현재 작업중인 위치(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


 

 [root@localhost ~ ]#

 [aegisone@localhost ~ ]$

 

구분자

의미

Root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명

Localhost

 리눅스 시스템의 호스팅명 (/etc/sysconifg/network)

~

 현재 작업 디렉터리 위치

#

 관리자계정(#) 일반계정($)

 

 

 


  리눅스서버 Prompt 구조 실습


 

   실습

 - 관리자계정과 일반계정으로 로그인 후 터미널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

 - 바탕화면에서 Open in terminal 누르면 창이 나옴

 - 아래 그림은 관리자계정(#)으로 접속한 내용

 - dr-xr-xr-x처럼 d로 시작하는 것은 디렉터리라는 뜻

 - 디렉터리는 현재 위치만 볼 수 있지만 파일형식은 내가 보는 것 외에 다른 위치도 볼 수 있다는 점이 큰 차이

 

 

 

 

 

 

   리눅스서버 용어정리

 

 

 

 


  리눅스서버 용어정리 Part1


 

   커널(Kernel)

 - 운영체제의 핵심, 실행중 프로그램관리와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자원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

   쉘(shell)

 - Hardware와 Kernel에 사용자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

 - 쉘은 커널과 사용자 사이에서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질의하고 결과를 사용자에게 해석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됨

 - 운영체제에 따라 기본쉘이 달라지는데 sh, csh, ksh, bash 등이 있음

   퍼미션 및 소유권

 - 일반적으로 유닉스 계열에서 파일과 자원에 대한 결정권은 오직 해당 객체의 사용자에게 할당된 권한에 의해 다뤄지게 됨

 - 퍼미션은 읽거나, 쓰거나, 실행 권한에 대한 행위를 말하며 해당 자원에 액세스 여부를 결정됨

 - 소유권은 각 사용자로 하여금 접근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소유권을 부여하는데, 특정파일에 대하여 소유자와 그룹소유자, 그리고 기타 사용자로 나뉘게 됨

   사용자

 -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계정과 접근시 인증받아야 할 패스워드가 있어야 함

 - root 사용자는 슈퍼유저라고도 부르며 최고 권한을 갖고 있는 사용자임

   VI Editor

 - 유닉스 계열의 대표적인 파워풀한 텍스트 문자 편집기로서 대기모드, 편집모드, 명령모드의 세 가지 step으로 구성됨

   Cron

 - Cron Daemon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예약해 두고 정해진 시간에 주기적인 반복 수행할 수 있도록 함

 - /etc/cron.allow, cron.deny에 의해 일반사용자의 접근제어가 가능함

   리눅스 디렉토리

 - 최상위 디렉토리를 root 디렉토리라 부르고 '/'로 표시함

 - Unix 시스템의 디렉토리와 마찬가지로 tree 모양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음

 - 이를 Filesystem Hierarchy System(FHS)라 함

   파일시스템

 - 물리적인 HDD를 특정 OS가 임의의 디렉토리인 마운트포인트를 통하여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논리적인 공간을 의미함

 - OS마다 파일시스템의 유형은 다르며 리눅스계열의 파일시스템 포멧은 ext2, ext3, ext4 등이 있음.

   마운트

 - 물리적인 파일시스템을 임의의 디렉토리인 마운트포인트를 이용하여 해당 파일시스템에 접근가능하도록 하는 일련의 행위

   Quota

 - 유닉스/리눅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일정 용량의 디스크 사용량을 지정함으로써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줌

 - 디스크블록 단위, 또는 파일 생성가능 수량인 i-node 의 수로 제한 가능함

 

 

 

 

 

 


  리눅스서버 용어정리 Part2


 

   Login & Logout

 - Login : 컴퓨터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상에서 구분되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고 접근 권한이나 사용권한을 얻어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과정, 해당 사용자만이 작업할 수 있는 공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절차, 리눅스 시스템은 멀티 유저 및 멀티 태스킹 환경이기 때문에 로그인 과정과 같은 사용자 구분이 되어있지 않으면 다른 사용자가 임의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Log out : 프롬프트 창에서 exit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ctlr + D 키를 입력

   리눅스 기본 명령어

 - pwd : 현재 경로 보기

 - cd :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

 - Ls : 디렉토리의 목록보기

 - cp : 파일/디렉토리 복사

 - mv : 파일이동

 - mkdir(make directory) : 디렉토리 생성

 - rmdir(remove directory) : 디렉토리 삭제

 - rm :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 alias : 별칭지정 명령

 - cat : 파일내용출력

 - touch : 파일 시간정보 변경 및 파일 생성

 - head : 파일의 내용 중 처음부터 아래로 10줄 출력

 - tail : 파일의 내용 중 마지막으로부터 위로 10줄 출력

 - more : 내용이 많은 파일을 화면단위로 끊어서 출력

 - rdate : 타임서버에서 시간정보를 얻어 시스템의 시간을 변경

 - file : 확장자를 기본으로 사용하지 않는 리눅스의 파일 종류 확인

 - find : 파일 및 디렉토리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