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입문자료

리눅스서버 기초입문 :: 운영체제 환경의 이해

 

 

 

 

 

   리눅스서버 기초입문 :: 운영체제 환경의 이해

 

 

 

 


  개요와 학습방법


 

   개요

 - 정의 : 리눅스를 OS로 사용하는 서버 컴퓨터

 - 기대효과 : 리눅스의 실무 기능을 익힐 수 있음

   학습방법

 - 리눅스 환경, 디렉터리 구조, 계정, 프롬프트 구조는 꼼꼼하게  읽어보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

 - 기본 명령어는 반드시 외워야 함

 

 

 

 


  운영체제 환경의 이해


 

   주요 용어

 -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 : 커뮤터 시스템을 다루는 관리자

 - 부팅(Booting) :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시작하는 것

   싱글부팅모드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한 개의 운영체제를 사용

 - 해당 운영체제에서 문제가 생기면 이 전체 운영체제를 포맷하고 다시 설치해야 함

   멀티부팅모드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두 개의 운영체제를 사용

 - 예컨대, 운여체제 1에는 Windows, 운영체제 2에서는 Linux와 같이 각각 설치하는 경우

   버추얼부팅모드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가상의 부팅모드를 이용해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사용

 - 하나의 운영체제가 깔려있고 VMware라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가상 운영체제를 운용할 수 있게 함

 

 

 

 

 

 

   리눅스서버 기초입문 :: 설치

 

 

 

 


  설치에 앞서 필요한 강좌


 

Tool 활용강좌(VMware workstation)를 먼저 확인하고 리눅스서버 1-3강의 (리눅스설치 실습)를 들어야 합니다. 리눅스 설치 실습 강의를 그대로 따라해야하며, 천천히 따라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설치


 

 1) 설치된 VMware를 켜고 Create a new virtual machine(새로운 가상 머신을 생성하라)를 누름

 2) 새로운 창이 뜨면 custom(사용자 지정 설치)를 누름 > 다음 누름

 3) 중간의 “1.0”을 누른 뒤 > 다음 누름

 4) 맨 아래의 방법을 선택(“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나중에 운영시스템을 설치 하겠습니다) > 다음 누름

 5) 두 번째의 Linux 단추를 누르고 하단의 버전에서 Centos 64bit를 선택 > 다음 누름 

 6) 폴더 이름을 변경, 위치 설정

 7) 프로세서는 1개 그대로 설정 > 다음 누름

 8) 지원 메모리 정보가 나오니 확인한 뒤 > 다음을 누름

 9) 두 번째의 NAT 사용을 선택(사설IP를 이용한 NAT사용)

 10) 하드디스크의 운영체제 지원형태를 두 번째의 권장사항인 LSI Logic를 선택 후 > 다음 누름

 

 11) 두 번째의 SCSI 선택후 > 다음 누름

 12) 첫 번째의 Create a new virtual disk(새로운 가상 디스크를 생성하겠다)를 선택하고 > 다음 누름

 13) 용량선택 화면을 확인 후 > 다음을 누름

 14) vmdk 파일저장(지금까지의 설정내용을 저장함) 확인 후 > 다음 누름

 15) 지금까지 설정한 내용을 확인하고 틀린 점이 없다면 finish버튼(완료)을 누름

 16) 왼쪽에 나오는 정보들은 조립정보가 나옴, 이 위의 power on ~ 버튼을 클릭

 17) 상단의 VM 메뉴에서 맨 아래의 Settings 누름

 18) 왼쪽에서 CD/DVD(IDE) 선택한 뒤, 오른쪽에서 Use ISO image file 선택한 뒤, Browse를 누 르고 미리 다운로드받은 centos iso파일을 찾아서 선택, ok 누르기

 19) 화면을 확인한 뒤 엔터를 침

 20) OK를 눌러서 계속 진행(skip도 무방함)

 

 21) 한국어를 찾은 뒤 > 다음을 누름

 22) 키보드를 한국어 선택후 > 다음 누름

 23) 기본 전자장치 누름 > 다음 누름

 24) “예, 모든 데이터를 삭제합니다” 누르고 > 다음누름

 25) 고유 명칭인 호스트명(컴퓨터이름)을 ‘samadal.itbank“ 설정하고 다음(원하는 이름으로 써도 됨)

 26) 지역은 서울로 맞추고 > 다음 누름

 27) 포트 암호를 입력 후 > 다음 누름

 28) 사용자 레이아웃 만들기 > 다음 누르기

 29) 여유공간 누르고 만들기 누른 뒤, 저장소에서 생성버튼 누르고 파일swap(가상 메모리공간) 공간 을 4096MB로 누름, 나머지 여유 공간을 누르고 마운트 지점에 “/”쓰고 아래의 가능한 최대 용량으 로 채움을 누르고 확인 (* 포맷이란 디스크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파일시스템을 초기화 하는 작업 )

 30) 부트모드에서 확인 후 > 다음버튼 누름

 

 31) 상단의 Desktop, 아래의 centos선택, 지금 선택은 누른 뒤 “뒤로”누른 뒤 나중에 변경으로 선택 하고 > 다음을 누르면 설치 화면이 진행됨

 32) 설치 완료 후 재부팅 버튼을 누르면 됨

 33) 사용자 생성에서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 입력

 34) 날짜와 시간을 확인하고 > 다음을 누를 것

 35) kdump에서 확인 후 > 완료버튼 누를 것

 36) 계정란에서 기타 버튼을 누른 뒤 사용자 이름은 root(관리자계정)로 설정 로그인 누르고 예전에 입력한 비밀번호 누르고 로그인

 37) 현재 루트 수퍼 유저(관라자계정)로 실행하려 하고 있습니다~라는 창이 뜨면 체크박스 누르고 닫 기 누름(알고만 있으면 됨)